Surprise Me!

[더뉴스 앵커리포트] 북러정상회담, 2002년과의 유사점은? / YTN

2019-04-24 4 Dailymotion

이번 북러 정상회담은 8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1년에 김정일-메드베데프 간 정상회담이 열렸고 그 전에는 2002년 김정일-푸틴 회담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북러 정상회담은 2011년보다 2002년 회담과 여러모로 유사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2002년 북러 정상회담과 이번 정상회담은 무려 17년의 시간차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정상이 동일 인물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마흔아홉살, 집권 4년차를 맞이한 젊은 지도자였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김정일 위원장은 69세로 집권 9년차였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지금은 상황이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정상이 서른두살이나 많고 국내외 위상도 더 견고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2002년 북러 정상회담 장소도 블라디보스토크였습니다. <br /> <br />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 동방 정책의 상징적인 지역이고 북한 입장에서는 개방의 교두보로 삼는 주요 접경지역 중 한곳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김정은 위원장의 동선 역시 과거 김정일 위원장의 동선과 일부 겹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중요한 유사점은 정상회담이 열리게 된 국제 정세입니다 <br /> <br />2002년 북러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에는 1994년 제네바 합의 이후 지속된 북미 간 핵협상에 한계가 분명해지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2000년,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될 정도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호전됐지만 클린턴 대통령 임기 말 북미 정상회담 개최가 무산되고 말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들어선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 입장은 9.11 테러를 계기로 더욱 공고해졌고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위세 역시 극대화 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고립에서 벗어나려던 북한이 이른바 '신사고'를 내세우며 경제 재건을 강조한 것도 최근의 북한 경제 중시 행보와 유사합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이 강조한 자력갱생과는 다소 차이 있지만 경제에 집중한다는 점에선 맥을 같이 합니다. <br /> <br />17년 전 북러 정상회담 이후엔 어땠을까. <br /> <br />북한은 곧바로 핵 개발을 시인하는 초강수를 둡니다. <br /> <br />이후 고조되던 긴장은 이듬해 6자회담이 시작되면서 국제사회가 공동 관리하는 다자협상 체제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6자회담은 2007년 6차회담을 끝으로 중단됐지만 극단적인 대결 국면을 완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2019 북러 정상회담 이후엔 어떤 변화가 생길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주변 국가가 담당할 역할의 한계를 확인하고 북미 직접 협상이 재개될 것인지, 러시아와 중국 등의 비중이 커지게 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42413395475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